📚 [Energy] ZEB 등급 및 범위

Category: Energy | 📅 June 22, 2025

ZEB(Zero Energy Building, 제로에너지건축물) 등급은 건물의 에너지 자립 수준에 따라 아래와 같이 5단계로 구분됩니다. 이 등급은 건물의 에너지 효율성과 신재생에너지 생산량을 고려하여 산정되며, 에너지 자립률(%)을 기준으로 한다.

ZEB 등급 구분 (국토교통부 기준) ZEB 등급 에너지 자립률(%) 설명 제로에너지 1등급 ≥ 100% 사용 에너지보다 더 많은 에너지를 생산하는 건물 (에너지 양(+) 건물) 제로에너지 2등급 ≥ 80% ~ < 100% 대부분의 에너지를 자체적으로 생산 제로에너지 3등급 ≥ 60% ~ < 80% 상당 부분을 자립하는 에너지 고효율 건물 제로에너지 4등급 ≥ 40% ~ < 60% 일정 수준 자립을 실현한 고효율 건물 제로에너지 5등급 ≥ 20% ~ < 40% 최소 기준 이상의 에너지 자립률을 달성한 건물

참고사항 에너지 자립률(%) = (신재생에너지 생산량 / 건물 1차 에너지 소비량) × 100 ZEB 인증제도는 국토교통부 산하 건축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증제도와 연계되어 운영됩니다. 의무화 대상: 2030년까지 모든 공공·민간 건축물에 단계적으로 적용 예정입니다.

ZEB 등급별 적용 사례

ZEB 등급 적용 사례 (건물 유형) 특징 1등급 (100% 이상) - LH 진주 본사

  • 서울에너지드림센터 순 에너지 생산 건물 (Plus-Energy Building) 신재생에너지 설치가 대규모로 이루어짐 (태양광+지열 등) 2등급 (80~99%) - 지자체 청사 리모델링 사례
  • 연구시설 (공공기관) 자체 에너지 생산을 대부분 충족 고성능 외피 + 고효율 기계설비 3등급 (60~79%) - 공공도서관
  • 학교 (신축 또는 개보수) 고효율 설계 기반, 일부 신재생에너지 설치 패시브+액티브 설계 병행 4등급 (40~59%) - 중소규모 오피스
  • 어린이집 리모델링 기본적인 패시브 기술 적용 (단열, 기밀성 강화) 태양광 등 소규모 신재생 적용 5등급 (20~39%) - 민간건축물 초기 적용 대상
  • 공동주택 일부 시범 단지 신재생에너지 일부 적용 ZEB 의무화 대상에 가장 먼저 적용되는 범위

ZEB 등급별 건축 설계 기준 요소

구분 패시브 요소 액티브 요소 신재생에너지 설비 공통 고단열(열관류율 기준) 기밀성 강화 고성능 창호 고효율 냉·난방기 열회수환기장치 LED조명 태양광(PV) 지열 히트펌프 태양열 온수 1등급 설계 포인트 패시브 최적화 건물형태 단순화 BEMS 연계 자동제어 에너지저장장치(ESS) 활용 신재생 설치면적 극대화 에너지 수요보다 더 많은 생산 3등급 설계 포인트 단열기준 최소 1등급 수준 창호 면적비 조정 고효율 기기 사용 조명, HVAC 자동제어 태양광 우선 설치 지열 선택적 도입 5등급 설계 포인트 기본적인 단열·차양 적용 최소한의 고효율 설비 소규모 태양광(옥상 설치 등)

부가 정보

ZEB 설계는 “패시브+액티브+신재생” 3요소 통합이 필수입니다. 건축사, 기계설비사, 전기설계사, 에너지 컨설턴트 간 융합설계가 ZEB 등급 확보의 핵심입니다. 건축허가 시, ZEB 예비 인증을 통해 목표 등급을 명시하고 준공 후 본 인증으로 검증됩니다.

🏷️ Tags
  • #ZEB  
  • #ZeroEnergyBuilding  
  • #젭  
  • #B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