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nergy] BEMS 도입 검토시 도면 검토 기준
Category: Energy | 📅 January 09, 2025
1. 건축도면
- 건물 구조 : 각 공간의 크기, 용도, 층별 배치 및 외피 구조 확인
- 단열 성능 : 외벽, 창문, 지붕 등의 단열재 사양과 열관류율 정보.
- 창호 설계 : 창의 면적, 방향, 개폐 방식, 유리의 종류와 열적 성능.
- 공간 용도별 에너지 수요 분석 : 냉난방, 환기, 조명 등 요구사항.
2. 기계도면
- HVAC(냉난방 및 환기 ) 설비 :
- 공조기, 냉동기, 보일러, 펌프 등의 위치 및 용량
- 공기 덕트 및 배관망 배치도와 시스템 구성
- VAV, FCU 등 에너지 절감형 장치 사용여부
- 에너지 절약 기술 적용 여부 : 지역난방, 지열 냉난방, 열 회수 환기장치
- 측정 포인트 : 에너지 소비량 측정을 위한 센서(온도, 습도, 유량 등) 설치 위치
3. 전기도면
- 전력분배 시스템
- 전기실 배치, 주요 전력 설비(변압기, UPS 등) 위치
- 에너지 측정을 위한 미터 및 센서 설치 위치
- 조명설계
- 공간별 조도 요구치 및 제어 방법
- LED 조명 채택 여부와 디밍 시스템 연계
- 재생에너지 시스템
- 태양광, 풍력 등 연계 여부 및 전력 흐름 설계
- 자동제어 시스템
- BAS(Building Automation System) 과의 연계성 확인
4. 배관 및 배선 도면
- 배관설계
- 냉온수 배관, 스팀 배관, 배수 및 급수 배관 경로
-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단열재 적용여부.
- 배선 설계
- 에너지 관리 장치와의 통신 배선 및 전력선 배치
- 통신 프로토콜(BACnet, Modbus 등) 적용여부
5.BEMS 연계설계
- 센서배치
- 온도,습도, Co2, 조도, 에너지 사용량 측정 센서의 배치 위치
- 제어영역 및 범위
- 냉난방, 조명, 전력사용, 환기 시스템 제어 가능 여부
- 데이터 수집 및 저장
- 데이터 흐름 확인 (센서-> 데이터 수집기 -> BEMS서버)
- 클라우드 또는 로컬 서버 적용여부
- UI/UX
- BEMS 운영자 인터페이스에 필요한 데이터 표출 요구사항 반영
6. 규정 및 표준 준수
- 에너지 효율 관련 법규
- 지역에너지코드, 건물 에너지 효율 기준 준수 여부
- 국제 인증 및 표준
- LEED, ISO50001, ASHARAE 표준 준수 여부와
7. 시뮬레이션 및 데이터 기반 검토
- 시뮬레이션 검증
- 설계된 시스템이 예상 에너지 절감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지 확인
- 기존 에너지 사용량 데이터 분석
- 기존 데이터를 통해 BEMS 설치 효과를 예측
💭 Reviews
머리로는 알아도 이렇게 정리를 한 번씩 해줘야 함.